-
2019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기계공작법/국가직 7급 2021. 4. 19. 16:34반응형더보기
정답: 2
탄소함유량이 많아질수록 가공성 저하, 경도·강도·내마모성 증가
더보기정답: 2
크리프 현상을 말한다.
더보기정답: 1
리밍은 연마공정이 아닌, 날공구를 사용한 정밀 가공이다.
더보기정답: 4
척대신 연삭숫돌과 조정숫돌을 사용하는 것은 센터리스 연삭을 말한다.
크리프피드 연삭 (반도체 공정 중 CMP)
더보기정답: 2
초음파가공은 연삭숫돌을 진동시키는 것이 아닌, 연삭 입자들(가공액과 섞음)이 초음파 진동에 의해 상하로 공작물과 충돌하여 가공하는 방법이다.
더보기정답: 2
1) 왁스 등 열에 쉽게 녹는 재질
3) 금속 (영구주형)
4) 금속 (영구주형)
더보기정답: 3
ㄱ) 전단면과 공작물 표면이 이루는 각을 전단각이라고 한다.
ㄴ) 전단각이 크면 절삭에너지는 작아진다. (옳음)
ㄷ) 칩두께비 = 절삭깊이/칩두께 < 1
ㄹ) 공구 경사각이 커야 전단변형률이 작아지기 때문에 맞다.
더보기정답: 3
브로칭은 여러개의 높이가 다른 날이 있는 공구를 사용하는 가공방법이다.
1) 숏피닝: 입자를 충돌시켜 표면을 경화시키는 공정
2) 버니싱:
4) 침탄법: 강의 표면에 탄소를 침투시켜
더보기정답: 2
고온가압실식 다이캐스팅은 용해로가 주조기에 붙어있으며, 용융점이 낮은 금속에 적합한 방식이다. 생산속도는 저온가압실식보다 빠르다. 저온가압실식 다이캐스팅은 주로 알루미늄같이 용융점이 높은 금속에 사용한다. 압력은 저온가압실식이 더 높다.
고온가압실식 다이캐스팅 저온가압실식 다이캐스팅 더보기정답: 3
수직이방성:
평면이방성:
더보기정답: 4
블랭킹은 판금전단가공이다. (전단 후, 나오는 조각을 사용함)
더보기정답: 3
텅스텐 용접봉을 사용하는 TIG 용접은 전극봉 소모가 없다.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4
공작물의 비열이 크면, 열을 많이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상승이 적다. (Q=cmΔT, 같은 열량을 공급할 경우 c가 크면 ΔT는 작다)
더보기정답: 1
사출성형에서 성형온도 증가는 대부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2
상향 절삭은 절삭날과 공작물의 진행방향이 서로 반대다.
더보기정답: 3
더보기정답: 1
수평 머시닝 센터는 주축이 지면에 수평이다.
더보기22142 23323 43441 14231
반응형'기계공작법 > 국가직 7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 (0) 2021.04.19 2018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해설 보충 필요) (0) 2021.04.19 2017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0) 2021.04.19 2017년 생활안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0) 2021.04.19 2016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 (0) 2021.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