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작법
-
2020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8
더보기 정답: 3 경도(hardness): 재료 표면의 단단한 정도 강성(stiffness): 모양이나 부피변형에 대해 저항하는 성질 인성(toughness): 파단전에 재질이 소성 변형해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정도 취성(brittleness): 재료가 외력에 의해 영구 변형을 하지 않고 파괴되거나, 극히 일부만 영구 변형을 하고 파괴되는 성질 더보기 정답: 1 공구 경사면과 칩의 접촉: 크레이터 마모 공구 측면(flank)와 절삭면 접촉: 플랭크 마모 더보기 정답: 4 주물사는 통기성이 좋아야 한다. 더보기 정답: 4 딥드로잉 중에는 귀생김(earr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배럴링은 자유단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다. [자유 단조는 간단한 단조 공정으로 소재를 2개의 평 금형 사이에 올려놓고 ..
-
2019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
더보기 정답: 4 보기에서 주어진 정보를 통해 압출공정인 것을 알 수 있다. (인발은 당김) 그리고 램과 공작물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후방 압출 공정이다. 전방압출 공정은 램이 공작물의 방향의 같다.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2 ◎ 분말야금 관련 암기노트 - 분말야금 공정: 압축 → 소결 - 대량 생산 가능, 재료 낭비 없음, 공극 조절 가능, 고정밀 공정, 자동화 가능, 특정합금 혹은 가공하기 힘든 금속도 가공 가능 - 비용이 높음, 분말은 취급하기 어려움, 형상이 제한적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등방성을 띄는건 열간 가공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2 플래시와 거버를 잘 숙지할 것 플래시 : 금형 외부로 밀려나가는 소재의 일부, 과다한 소재를 빠져나가게 하고, ..
-
2018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해설 작성 중)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
더보기 정답: 2 ㄱ) 목형구배가 아닌 라운딩을 말함 ㄴ) 맞음 ㄷ) 주형이 아닌 주물의 수축을 말함 (이 경우, 목형이 곧 주형이 된다) 더보기 정답: 2 충진을 원활하게 하려면 마찰이 적어야 한다. 더보기 정답: 4 1) 용선로: 강판을 원형으로 짜고 그 내부를 내화 벽돌로 쌓음. (보기에 나온 설명은 도가니로) 2) 도가니로: 1회에 용해할 수 있는 구리의 중량으로 용량을 표기 3) 반사로: 반사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불꽃이 직접 닿지 않아서 불순물이 섞이지 않음. (압축공기를 주입하는건 용선로 방식에서 전로부분을 말함) ※ 전로(轉爐, converter): 용해된 선철을 강철로 그것도 대량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장치.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산소와 철 내부의 탄소 등의 불순물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나 일..
-
2017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
더보기 정답: 2 연납접(납땜)은 모재는 녹지 않고, 용가재(납)만 용융된다. 더보기 정답: 3 주철은 흑연이 미세할수록, 구형일수록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함 냉각속도에 따라 회주철, 백주철이 생성됨 탄소, 실리콘 함량이 많으면 회주철, 적으면 백주철이 생성됨 가단주철: 백주철로 제조한 다음 흑연화 열처리를 하여 제조 구상화 흑연 주철: 용해 후 주조 직전에 마그네슘 처리하거나 흑연화 접종제를 첨가하여 제조 더보기 정답: 4 subzero(심냉처리, 냉동처리, 칠처리 등등):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담금질 처리를 하면 오스테나이트가 5~20% 잔류하게 됨. 약 -180℃로 냉각하여 조직을 전부 마르텐사이트로 변환한 뒤, 실온으로 회복한 뒤 저온 템퍼링을 하여 β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바꿔주는 것이 subzero..
-
2016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3 칠러, 냉각쇠는 하부에 부착하여 상부, 하부가 동시에 식도록 함 자명하지만, 하부가 늦게 식기 때문 더보기 정답: 1 폭퍼짐이 나타난다는건 압연이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경우, 압연이 제대로 안 되는 경우는 힘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임. 따라서, 힘이 크게 들어가면 폭퍼짐이 적어지고 압연이 제대로 된다는 소리. 마찰이 크고, 판재두께에 대한 롤반경 비가 크면 됨 더보기 정답: 2 1) 초음파 가공 2) 방전 가공 3) 레이저 가공 4) 전해 가공 더보기 정답: 2 조도 향상을 위한 가공법 : 센터리스연삭, 래핑 (랩을 사용), 호닝 등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1 오스테나이트는 면심입방, 체심입방은 더 단단하고 깨지기 쉬운 상태 (마르텐사이트) 더..
-
2015년 6월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6
더보기 정답: 4 균열형 칩은 절삭깊이가 깊거나 경사각이 작을때 발생한다. 더보기 정답: 2 마찰력이 커지면 압하력도 증가한다. 더보기 정답: 3 플래시는 형단조에서 발생하며, 플래시가 생기면서 형틀 안에 재료가 남아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플래시가 생기는 순간부터 공작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진다. 더보기 정답: 2 용접에서 플럭스(flux)의 역할을 알면 쉽게 풀 수 있다. 플럭스(flux): 용접이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함. (모재 산화막 제거, 재산화 방지 등) 더보기 정답: 2 인바: Fe+Ni 합금 인코넬: Ni(주성분), Cr(15%), Fe(6~7%), Ti(2.5%), Mn·Al…(
-
2015년 3월 연구사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6
더보기 정답 : 4 2단 롤 : 더보기 정답 : 2 더보기 정답 : 2 더보기 정답 : 1 더보기 정답 : 4 더보기 정답 : 2 E-beam은 진공상태에서 운용한다. E-beam evaporator를 기억하자 더보기 정답 : 2 더보기 정답 : 2 경화능은 조미니 시험법 더보기 정답 : 3 Chvorinov' rule n = 1.5 or 2, B는 상수, V는 체적, A는 표면적 더보기 정답 : 3 = 0.3185 m/min 더보기 정답 : 1 더보기 정답 : 2 연강은 용제 없이 용접 가능 더보기 정답 : 4 평면이방성 때문에 earing 발생 더보기 정답 : 4 가공 후 잔류응력 제거 과정은 어닐링(풀림, annealing)으로 함 더보기 정답 : 3 1) 액상수지 2) 치약같은 고형수지 (페이스트..
-
2020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기계공작법/국가직 7급 2021. 4. 19. 16:34
더보기 정답: 4 구배(draft)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하자. 소모성주형과 영구주형은 구배의 목적이 약간 다르다. 소모성주형 : 주형에서 모형이 잘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함. 영구주형 : 주형에서 제품이 잘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함. 사형주조는 소모성 주형이므로 주형에서 모형(패턴)이 잘 빠져 나오도록 구배를 준다. 소모성주형 주조 과정 더보기 정답: 1 Chvorinov's rule t: 응고시간 n: 상수, 주로 2 B: 주형 상수 (모양에 따라 다름) 이긴 한데, 정확한 내용을 몰라도 부피가 같다면 중심까지 길이가 가장 긴 형태인 구체가 가장 긴 응고시간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정답: 2 리밍은 내경을 정확하게 가공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볼트 공정에 필요 없다. 더보기 정답: 2 산술평균..
-
2019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기계공작법/국가직 7급 2021. 4. 19. 16:34
더보기 정답: 2 탄소함유량이 많아질수록 가공성 저하, 경도·강도·내마모성 증가 더보기 정답: 2 크리프 현상을 말한다. 더보기 정답: 1 리밍은 연마공정이 아닌, 날공구를 사용한 정밀 가공이다. 더보기 정답: 4 척대신 연삭숫돌과 조정숫돌을 사용하는 것은 센터리스 연삭을 말한다. 크리프피드 연삭 (반도체 공정 중 CMP) 더보기 정답: 2 초음파가공은 연삭숫돌을 진동시키는 것이 아닌, 연삭 입자들(가공액과 섞음)이 초음파 진동에 의해 상하로 공작물과 충돌하여 가공하는 방법이다. 더보기 정답: 2 1) 왁스 등 열에 쉽게 녹는 재질 3) 금속 (영구주형) 4) 금속 (영구주형) 더보기 정답: 3 ㄱ) 전단면과 공작물 표면이 이루는 각을 전단각이라고 한다. ㄴ) 전단각이 크면 절삭에너지는 작아진다. (옳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