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
2016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3 칠러, 냉각쇠는 하부에 부착하여 상부, 하부가 동시에 식도록 함 자명하지만, 하부가 늦게 식기 때문 더보기 정답: 1 폭퍼짐이 나타난다는건 압연이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경우, 압연이 제대로 안 되는 경우는 힘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임. 따라서, 힘이 크게 들어가면 폭퍼짐이 적어지고 압연이 제대로 된다는 소리. 마찰이 크고, 판재두께에 대한 롤반경 비가 크면 됨 더보기 정답: 2 1) 초음파 가공 2) 방전 가공 3) 레이저 가공 4) 전해 가공 더보기 정답: 2 조도 향상을 위한 가공법 : 센터리스연삭, 래핑 (랩을 사용), 호닝 등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1 오스테나이트는 면심입방, 체심입방은 더 단단하고 깨지기 쉬운 상태 (마르텐사이트) 더..
-
2016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기계공작법/국가직 7급 2021. 4. 19. 16:33
더보기 정답: 1 자유단조: 대장간 포징 생각하면 됩니다. 정형, 준정형이 아님. 더보기 정답: 3 온도가 상승하면 탄성계수, 항복응력, 인장강도가 감소한다. 충격인성은 온도와 관계 없다. 더보기 정답: 3 NC에서 서보기구가 위치나 속도를 조절한다. 더보기 정답: 4 코어프린트는 코어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결함의 원인이 아니다. 쇳물경계는 이미 굳기 시작한 쇳물이 만나서 생기는 결함이다. 더보기 정답: 3 M기능: G기능: 더보기 정답: 1 고속가공에는 고온경도가 높은 공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정답: 4 공구 끝단에서 약간 떨어진 부분이 최고온도점이 된다. 더보기 정답: 3 필라멘트 현태의 수지를 가열된 노즐을 통과하는 동안 용융시키고, 이 때 노즐을 제품의 단면 형상대로 이동시키며 적층..
-
2016년 지방직 9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물리학개론/지방직 9급 2020. 3. 5. 15:10
더보기 정답: 2 A: g B: 2g C: (3/2)g D: (4/3)g 더보기 정답: 1 그림에서 물체와 물체 사이 간격이 같은 시간동안 같으므로, 위치와 시간의 관계는 1차 함수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더보기 정답: 2 T=2 sec, f=0.5 Hz, λ=8 m v=λf=4 m/s 더보기 정답: 4 쿼크는 강입자를 이루는 기본입자의 종류이다. 문제에서 나온 위쿼크, 아래쿼크는 각각 +(2/3), -(1/3) 전하를 띄고 있으며 질량도 다르다. 1),2) 전하량에 따라 (가)는 양성자, (나)는 중성자가 맞다. 3) 쿼크들 사이에 강력이 작용한다. 4) 다르다. 더보기 정답: 3 (나) 그래프 면적이 한 일이다. (E = F·d cosθ) 따라서 일 = 운동에너지 (½mv²) 이므로 속도는 3m/..
-
2016년 기상직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물리학개론/기상직 7급 2020. 3. 2. 09:39
더보기 정답: 3 질량은 그대로, 무게는 지구의 1/5배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2 ㄱ. θ가 동일하므로 진폭은 동일하다. ㄴ. 위치에너지가 전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는 공식을 사용하면, 질량이 소거되므로, 속력의 최댓값은 A와 B가 같다. ㄷ. 주기는 아래공식에 따라 진자의 길이와 중력가속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A와 B가 동일하다.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1 참고 더보기 정답: 4 이중슬릿, 보강간섭(문제에서 밝은 빛이라고 함)일때, 더보기 정답: 1 1) 매질이 없어도 전자기파는 진행한다. 2) 마이크로파도 전자기파이다. 3)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4)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크다. 더보기 더보기 34241 14124 41223 12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