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
2017년 지방직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물리학개론/지방직 7급 2021. 4. 19. 16:49
더보기 정답: 4 1) 도체 내부 전기장은 0 2) 도체 표면에서 전기장 방향은 표면에 수직 3) 알짜 전하는 도체 표면에만 분포 4) 도체 내부에서 전위는 전부 같다 더보기 정답: 3 ㄱ) 전자기파의 진폭 즉, 세기가 크면 튀어나오는 전자의 개수는 많아진다. 다만, 금속의 일함수보다 작으면 (진동수가 기준치보다 작으면) 전자기파의 세기가 아무리 커도 튀어나오는 전자는 없다. ㄴ) 금속의 일함수를 구할 수 있다. ㄷ) hf-hf' = (1/2)mv^2 ; ㄹ) 전자기파의 속도 = 빛의 속도 c = λf 이므로, 파장이 커지면 진동수는 작아진다. 진동수가 작아지면 전자의 운동에너지가 작아진다. (E=hf) 더보기 정답: 2 Q=cmT 용액이 얻은 열량+용기가 얻은 열량 = 쇠구슬이 뺏긴 열량 더보기 정답:..
-
2017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
더보기 정답: 2 연납접(납땜)은 모재는 녹지 않고, 용가재(납)만 용융된다. 더보기 정답: 3 주철은 흑연이 미세할수록, 구형일수록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함 냉각속도에 따라 회주철, 백주철이 생성됨 탄소, 실리콘 함량이 많으면 회주철, 적으면 백주철이 생성됨 가단주철: 백주철로 제조한 다음 흑연화 열처리를 하여 제조 구상화 흑연 주철: 용해 후 주조 직전에 마그네슘 처리하거나 흑연화 접종제를 첨가하여 제조 더보기 정답: 4 subzero(심냉처리, 냉동처리, 칠처리 등등):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담금질 처리를 하면 오스테나이트가 5~20% 잔류하게 됨. 약 -180℃로 냉각하여 조직을 전부 마르텐사이트로 변환한 뒤, 실온으로 회복한 뒤 저온 템퍼링을 하여 β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바꿔주는 것이 subzero..
-
2017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기계공작법/국가직 7급 2021. 4. 19. 16:34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4 90 m/min X (rev/(pi*0.05)) = 600 rev/min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4 S = (8rH)^0.5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3
-
2017년 생활안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기계공작법/국가직 7급 2021. 4. 19. 16:33
더보기 정답: 3 베이나이트는 공석변태가 아니라, 담금질을 통해 항온 변태과정으로 얻을 수 있는 조직이다. 더보기 정답: 4 심용접: 전기용접으로 선으로 쭉 잇는 용접방법 점용접: 전기용접으로 점으로 포인트 단위로 찍어내는 가용접 더보기 정답: 1 주물사의 통기성, 성형성, 내열성이 좋아야 한다. 더보기 정답: 2 연삭숫돌의 경도는 입자들의 결합제에 의한 결합도를 말한다. 더보기 정답: 4 형단조 시 만들어지는 플래시에 대한 설명이다. 더보기 정답: 2 1) 몸체(body, cutting part)가 아닌 자루(shank)의 유형이 2가지이다. 2) 옳은 보기 3) 접시머리 나사 또는 리벳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드릴링 후에 카운터싱킹을 한다. 4) 다인절삭공구를 사용하여 구멍 내면에서 소량의 재료를 제거하..
-
2017년 지방직 9급 기계설계 (작성 중)기계설계/지방직 9급 2020. 9. 11. 16:28
더보기 정답: 1 1: O 2: 톱니나사 3:둥근나사 4: 볼나사 ※사다리꼴 나사 더보기 정답: 2 체인 전동장치의 체인 속도의 변동이 있다. 더보기 정답: 3 나사효율 = 축방향 이동 일량/나사 회전 일량 = 출력일/입력일 입력일: 입력토크와 나사의 1회전에 해당하는 회전각 2π를 곱한 값 (2πT) 출력일: 축방향 하중과 피치를 곱한 값 (pQ) 더보기 정답: 3 제동토크 = 마찰력 X 거리 마찰력: μ2Q 거리: R ∴2μQR 더보기 정답: 1 (가) 원통도 (나) 위치도 (다) 평면도 참고) 진원도 동심도 평행도 더보기 정답: 2 원기둥 모양의 용기에 작용하는 최대 응력 방향은 원주방향이다. (가스통 폭발사고 사진을 보면 가스통 옆면이 위아래로 찢어진 형태임. 공식으로도 쉽게 증명 가능)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