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
2020년 국가직 7급 자동제어 (작성 중)자동제어/국가직 7급 2021. 4. 21. 11:05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② 반대로 적혀있다.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1 영점: -10, 극점: -1, -9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41321 41422 13233 24214
-
2020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8
더보기 정답: 3 경도(hardness): 재료 표면의 단단한 정도 강성(stiffness): 모양이나 부피변형에 대해 저항하는 성질 인성(toughness): 파단전에 재질이 소성 변형해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정도 취성(brittleness): 재료가 외력에 의해 영구 변형을 하지 않고 파괴되거나, 극히 일부만 영구 변형을 하고 파괴되는 성질 더보기 정답: 1 공구 경사면과 칩의 접촉: 크레이터 마모 공구 측면(flank)와 절삭면 접촉: 플랭크 마모 더보기 정답: 4 주물사는 통기성이 좋아야 한다. 더보기 정답: 4 딥드로잉 중에는 귀생김(earr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배럴링은 자유단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다. [자유 단조는 간단한 단조 공정으로 소재를 2개의 평 금형 사이에 올려놓고 ..
-
2020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기계공작법/국가직 7급 2021. 4. 19. 16:34
더보기 정답: 4 구배(draft)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하자. 소모성주형과 영구주형은 구배의 목적이 약간 다르다. 소모성주형 : 주형에서 모형이 잘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함. 영구주형 : 주형에서 제품이 잘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함. 사형주조는 소모성 주형이므로 주형에서 모형(패턴)이 잘 빠져 나오도록 구배를 준다. 소모성주형 주조 과정 더보기 정답: 1 Chvorinov's rule t: 응고시간 n: 상수, 주로 2 B: 주형 상수 (모양에 따라 다름) 이긴 한데, 정확한 내용을 몰라도 부피가 같다면 중심까지 길이가 가장 긴 형태인 구체가 가장 긴 응고시간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정답: 2 리밍은 내경을 정확하게 가공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볼트 공정에 필요 없다. 더보기 정답: 2 산술평균..
-
2020년 국가직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물리학개론/국가직 7급 2021. 2. 3. 10:20
더보기 정답: 1 상대성 이론: 배타 원리: 하나의 양자 상태에 두 개의 동일한 페르미 입자는 있을 수 없다. 광전 효과: 광전 효과는 금속 등의 물질이 한계 진동수보다 큰 진동수를 가진 전자기파를 흡수했을 때 전자를 내보내는 현상이다. 이 때 방출되는 전자를 광전자라 하는데, 보통 전자와 성질이 다르지는 않지만 빛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출처: 위키백과) 더보기 정답: 3 레이저 빛은 거의 단색광이다. (좁은 파장 폭) 더보기 정답: 4 ① O 운동량 보존 ② O 평형위치에서 가장 빠르다 ③ O ④ X 변위와 비례한다. (F=kx) 더보기 더보기 13412 13433 14123 32242
-
2020년 서울시 7급 기계설계 (작성 중)기계설계/서울시 7급 2021. 1. 26. 16:42
더보기 정답: 2 축의 경우 a에 가까워지면 호칭치수가 실제치수보다 커진다. 축은 소문자, 구멍은 대문자로 표기하며 h, H가 기준치수이다. a로 갈수록 축 지름은 작아지고, A로 갈수록 구멍 지름은 커진다. 즉 a, A는 기준보다 헐거운 조립상태를 의미한다. 더보기 정답: 4 6311 11*5 = 55mm ※볼베어링 치수표 04~96까지는 5를 곱하면 안지름 치수가 나옴 00: 10 01: 12 02: 15 03: 17 더보기 정답: 2 사이클로이드 치형: 원주피치(p=πm)와 구름원이 같아야 호환 인벌류트 치형: 압력각, 모듈이 같아야 호환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더보기 24232 43411 31244 34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