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 서울시 7급 한국사 (정답 입력중) :: 간간이 틈틈이 짬짬이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4년 6월 서울시 7급 한국사 (정답 입력중)
    학습/한국사 기출 2020. 1. 22. 14:52
    반응형

    1. 다음 ㄱ,ㄴ의 괄호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나라로 옳은 것은?

    ㄱ) 시조의 성은 고씨인데, 기골과 모양이 뛰어나고 기이했다. 일곱살에 의연함이 더하였고, 스스로 활을 만들어 쏘니 백발백중이었다. (  )의 속어에 활을 잘 쏘는 것을 주몽이라 하니, 이로써 이름을 삼았다. -'삼국사기'-

    ㄴ) 개로왕이 북위에 사신을 보내 말하였다. "우리나라는 고구려와 더불어 근원이 (    )에서 나왔다." -'삼국사기'-

    더보기

    정답: 부여

    참고) 고구려의 남하 정책에 밀려 백제 개로왕이 북위에 도움을 요청할때 부여라고 비빔

     

    2. 고대에 만들어진 무덤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백제는 고분 벽화를 그리지 않았다

    2) 고구려는 초기에 돌무지덧널무덤을 만들었다

    3) 가야는 무덤의 둘레돌에 12지신상을 조각하였다

    4) 신라에는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아 벽돌무덤이 유행하였다

    5) 발해의 정혜공주 무덤은 모줄임 천장구조를 하고 있다

    더보기

    정답: 5

    1) 공주 송산리 고분군 6호분, 능산리 고분에 사신도 벽화 있음

    2) 돌무지덧널무덤 : 신라 초기 무덤, 돌무지무덤 : 고구려 초기 무덤

    3) 12지신상 조각은 신라

    4) 남조 영향, 벽돌무덤은 백제 (ex. 무령왕릉)

    5) 정효공주 : 벽돌무덤, 정혜공주 : 모줄임 양식 굴식 돌방무덤

    3. 불국사와 석굴암을 창건한 시기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1) 귀족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녹음을 혁파하였다

    2) 통일을 자축하기 위해 임해전을 건설하였다

    3) 전국의 지명을 중국식으로 바꾸었다

    4) 원산만과 한강 하류로 진출하였다

    5)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였다

    더보기

    정답: 3

    경덕왕 : 성덕왕(최전성기)의 아들

    1) 신문왕

    2) 문무왕 (효소왕 이전)

    4) 진흥왕

    5) 원성왕

    4. 훈요십조를 남긴 고려의 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흑창

    2) 계백료서

    3) 사심관제도

    4) 기인제도

    5) 노비안검법

    더보기

    정답: 5

    노비안검법은 광종 때, 공신들 죽이기 위해서

    5. 고려 중기에 있었던 다음의 사실을 시기 순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인종이 이자겸을 숙청하였다

    ㄴ) 인종이 서경에 대화궁을 건립하였다

    ㄷ) 고려 조정은 금나라가 요구했던 군신관계의 외교관계를 수용하였다

    ㄹ) 김부식이 인종의 명을 받아 '삼국사기'를 편찬하였다

    더보기

    정답: ㄷ-ㄱ-ㄴ-ㄹ

    고려 왕 순서: 숙 - 예 - 인

    이자겸 부패귀족, 따라서 침략 종족한테 바로 굴복, 돈만 지키면 되는 돼지

    보다못한 다른 애들이 도와줘서 인종이 숙청

    숙청에 도움 준 김부식, 묘청 등... 묘청이 서경천도운동, 평양에 대화궁 건립

    중국 빠는 김부식이 결국 승리

    이제 책써야지

    6. 다음 ㄱ~ㄴ의 괄호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정치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ㄱ (    )에서 대부경 왕희걸, 우사낭중 유백인, 예부낭중 최복규, 원외랑 이응년 등이 서경 분사에서 토지를 겸병하여 재물을 모으고 있음을 탄핵하고 그들을 관직에서 파면할 것을 요청하니 왕이 이 제의를 좇았다. -'고려사'-

    ㄴ 궁녀 김씨는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요석택 궁인이라고 불렸다. 경주 사람 융대가 "자기는 신라 원성왕의 먼 후손" 이라고 거짓말하고 양민 5백여 명을 노비로 만들어서 김씨에게 주었으며 또 평장 한인경, 시랑 김낙에게 주어서 후원자로 삼았다. (    )에서 이것을 알고 심문하여 그 실정을 확인하고 이들을 처벌할 것을 왕에게 고하니 목종은 김씨에게서는 동 일백 근의 벌금을 받고, 한인경과 김낙은 지방으로 귀양보내라고 명령하니 듣는 사람들이 모두 다 치하하였다. -'고려사'-

    1)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함께 대간이라고 불렸다

    2) 법의 제정이나 각종 시행 규정을 다루었다

    3) 국왕의 잘못에 대해 비판하는 간쟁을 하였다

    4) 관리의 임명이나 법령의 개폐 등에 동의하는 권한이 있었다

    5) 왕명을 시행하지 않고 되돌려 보내는 봉박권을 갖고 있었다

    더보기

    정답: 2

    괄호 안의 기구는 어사대

    2번의 경우 식목도감을 말한다

    더보기

    정답: 4

    농종법(이랑), 견종법(고랑)

    고랑이 바람을 피할 수 있음

    더보기

    정답: 3

    정도전 저서 : 경고합니다 불심하삼

    1) 신숙주 (숙주나물 생각)

    2) 조광조 (조광조는 거꾸로 해도 조광조 기묘사화)

    3) 정도전

    4) 고려 최후의 빛 공민왕 (전민변정도감은 광종의 노비안검법처럼 귀족들 힘을 약화시키기 위해)

    5) 김종직 (김종직의 조의제문)

    더보기

    정답: ㄱ, ㄹ, ㅁ

    ㄴ) 호조에 대한 설명

    ㄷ) 사헌부에 대한 설명

    ㅂ) 승정원에 대한 설명

    더보기

    정답: ㄱ, ㄴ

    주자서절요는 이황의 저서, 이황은 주자학에 영향을 끼침.

    이황은 성학쉽대 1000원 짜리

    ㄹ) 소격서 폐지는 조광조. 조광조 때부터 유교탈레반 시작

    더보기

    정답: 2

    자료에 나오는 국왕은 광해군이다

    광해군은 강홍립에게 간을 보라고 지시함

    2) 광해군은 대동법을 시행했음

    1) 신윤복 영조

    3) 삼포왜란을 말함 (중종)

    삼계임신사정을임정기

    4) 숙종 (숙종 때 영토 관련 내용이 많음. 백두산정계비, 안용복 독도)

    5) 중인들의 신분 상승운동(소청운동)은 조선 후기 정조가 죽고 난 뒤, 개판이 된 조선, 순헌철 시대임을 알아야함. 그 중에서도 철종. 조선시대 때 중인 따위가 발언권을 가지려면 완전 개판이 되어야함.

    더보기

    정답: ㄱ, ㄹ

    영조의 탕평책

    조선의 법전은 조선경국전(정도전) - 경국대전(세조-성종) - 속대전(영조) - 대전통편(정조) - 대전회통(고종)

    ㄴ) 환국은 숙종때 무갑기을 기갑 경기갑

    ㄷ) 세도정치는 순헌철, 대원군

    ㄹ) 영조가 그래도 백성 많이 생각함

    ㅁ) 중국 쪽쪽 빠는 조선이 북벌을 한다? 인조 뚝배기 깨진걸 복수하기 위함을 생각해야함. 효종

    더보기

    정답: 3

    1) 석가탑에서 나옴

    2) 직지심체요절은 프랑스에 있다

    4) 유럽의 역법이 아님

    5)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은 고려시대 때 만들어짐

       (※ 대장도감에서 향약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과 처방을 모아 1236년에 간행한에 간행한 의서)

    더보기

    정답: 4

    항상 기억하자 대한제국은 고종의 왕국이다. 국민따위 없음.

    더보기

    정답: 5

    보기는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1923)이다.

    1) 박용만

    2) 이동휘

    3) 김규식

    4) 김좌진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