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10월 서울시 7급 물리학개론물리학개론/서울시 7급 (연구직 포함) 2021. 9. 27. 08:04반응형더보기
정답: 2
더보기정답: 3
더보기정답: 2
mv = const 에 따라 (운동량 보존)
1kg * 0m/s = 0.25*2i + 0.25*2j + 0.5 (xi + yj)
(i는 x방향 벡터, j는 y방향 벡터)
x=-1, y=-1
속력 합은 각 성분의 제곱의 합에 제곱근을 취한다
정답은 2번
더보기정답: 4
1) 주기 = 10 s
2) 진폭 = 20 cm
3) 진동수 = 0.1 Hz
4) 속도 = 파장 X 진동수 = 0.5 m/s
더보기정답: 4
턱의 접점에서 중량에 의한 모멘트와 힘에 의한 모멘트가 같으면 넘어갈 수 있다.
mg4 = F3
F=8 N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1
AV=const
더보기정답: 3
D→A과정: v감소, P증가, T증가 (단열압축)
1) T감소: 응결현상(공기 중 수증기가 응결)
2) V증가: 컵의 온도에 의해 컵 아래의 공기의 부피가 증가하여 일시적으로 컵을 들어올리는 부력이 발생하고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컵이 미끄러짐
3) T증가, P증가: D→A (단열압축)
4) v증가, P감소, T감소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2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3
더보기정답: 3
더보기정답: 2
2) 무한한 평면의 전기장은 거리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더보기정답: 1
1) 전압을 증폭시키려면 연산증폭기를 사용해야 한다.
더보기정답: 1
1) 프리즘을 통과한 뒤, B가 A보다 더 많이 굴절되었으므로, A의 파장이 B의 파장보다 길다.
2) 공기를 지날 때 A와 B는 동일하게 진행한다.
3) 프리즘을 지날 때 A가 B보다 빠르게 진행한다.
4) A광선의 굴절률이 B광선의 굴절률보다 작다.더보기정답 : 2
반응형'물리학개론 > 서울시 7급 (연구직 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서울시 연구직 물리학개론 (작성 중) (0) 2021.09.27 2019년 2월 서울시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 (0) 2021.09.27 2018년 제2회 서울시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 (0) 2021.09.27 2018년 제1회 서울시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 (0) 2021.09.27 2017년 서울시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 (0) 2021.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