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C 용어 정리 (KS B 7089 FA) :: 간간이 틈틈이 짬짬이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CNC 용어 정리 (KS B 7089 FA)
    기계공작법 2020. 3. 10. 07:23
    반응형

    ■ B-기계 KS B 7089 FA 용어  

    1. 가공 스테이션  (workstation)  

      가공기계 및 기계에 부대되는 기기를 포함하여 일체로 한 가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또는 장소.

     

    2. 감시, 모니터링  (monitoring)  

      시스템 또는 기기가 소정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상태를 발견하는 행위.

     

    3. 검사 스테이션  (inspection station)  

      부품 또는 제품의 검사를 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및 그 장소.

     

    4. 고장 진단  (failure diagnosis)  

      대상으로 하는 부품, 기기, 시스템 등이 주어진 기능을 상실한 상태(고장이라 한다) 에 이르렀을 때, 증상이나 징후를 토대로 하여 기능이 좋지 않은 위치를 찾아내고 그 정도를 판단하여 가능하면 고장의 원인을 발견하는 것.

     

    5. 라인 밸런스  (line balancing)  

      생산 라인을 지체없이 가동시키기 위하여 가공, 조립 등 각 작업공정의 부하를 되도록 평등하게 할당하는 편성 계획.

     

    6. 로트 크기  (lot size)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생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룹화된 제품, 부품, 원재료 등이 하나로 통합된 것을 로트라고 하며, 그 수량을 뜻한다.

    7. 맨 - 머신인터페이스, 휴맨 - 머신 인터페이스  (man - machine interface, human - machine interface)  

      기계의 조작에서 인간과 기계의 접점.

     

    8. 머시닝 센터  (machining center)  

      공구의 자동 교환장치 또는 자동 선택기능을 구비하고, 밀링 커터, 드릴링, 태핑 등 여러 종류의 가공이나 다면 가공이 공작물의 설치를 바꾸지 않고 가능한 수치제어 공작기계. 

     

    9. 무인 반송차  (automated(automatic) guided vehicle)  

      생산에 관련되는 물품(공작물, 부품, 반제품 등) 을 적재하고, 공장내의 소정의 무인 반송하는 무궤도 대차. 비 고 AGV 라고도 한다.

     

    10. 버퍼 스테이션  (buffer station)  

      각종 반송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장치 또는 시스템의 가동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들을 구성하는 스테이션 사이에 설치된, 반송물의 일시적인 체재 장소.

    11. 산업용 로봇  (industrial robot)  

      자동 제어에 의한 매니플레이션 기능 또는 이동 기능을 가지며, 각종 작업을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할 수 있고, 산업에 사용되는 기계.

     

    12. 센서, 검 출 기  (sensor)  

      대상물의 물리량을 검출하고, 신호로 변환하는 소자 또는 장치.  

    13. 수치 제어 공작 기계, NC 공작기계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공작물에 대한 공구 경로, 가공에 필요한 작업의 공정 등을 그것에 대응하는 수치 정보로 지령하는 제어기능을 가진 공작기계.

     

    14. 스루풋, 처리능력  (throughput (thru - put)  

      주어진 시간 내에 생산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일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

     

    15. 시뮬레이터  (simulator)  

      평가하는 대사에 대하여 수학 모델에 의한 실험을 하기 위한 전용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

     

    16. 어셈블리 센터, 조립 센터  (assembly center)  

      여러 개의 조립공정을 자동적으로 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  

    17. 엔지니어링 워크 스테이션, EWS  (engineering workstation)  

      다른 계산기 시스템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립형 계산기 시스템이며, 고성능 처리장치, 표시장치, 외부 기억장치,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 워크스테이션이라고도 한다.

     

    18. 온라인 계측  (on - line measurement)  

      측정기와 계산기를 직결하여 계측하는 것.

     

    19. 인프로세스 계측  (in - process measurement)  

      가공, 조립 등의 작업 중에 각종 물리량을 계측하는 것.

     

    20. 자동 창고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생산에 관련되는 물품(공작물, 부품, 반제품 등) 을 일시적으로 보관, 관리하는 목적으로 입출고를 자동적으로 하는 창고.

    21. 자동 프로그래밍  (automatic programming (computer part programming))  

      작업 정보를 기술한 프로그램을 제어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NC 프로그램에 컴퓨터 처리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변환하는 것.   

    22. 자동반송 시스템  (automatic (automated) material handing system)  

      소재·부품으로부터 제품이 되는 공정 사이를 생산에 관련된 물품(공작물, 부품, 반제품 등) 을 적재하여 소정의 장소로 자동으로 반송하는 시스템.  

    23. 제조 관리  (shop floor control)  

      생산에 관계되는 품질, 비용, 납기 등을 관리하기 위한, 설비의 운전감시·제어를 포함한 제반 관리활동. 

    24. 준비 스테이션  (set - up station)  

      가공, 조립 등의 공정에서, 공작물, 공구, 지그 등을 필요한 상태로 준비하는 장소.

     

    25. 택트 타임  (tact time)  

      각 작업 공정에 걸리는 시간(공정시간) 의 최대 시간.  

    26. 툴링 시스템  (tooling system)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소요 공구와 공구 유지구를 선택·조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27. 파트 피더  (parts feeder)  

      가공, 조립 등에 제공하는 부품을 정렬하여 소정의 장소까지 자동적으로 보내는 장치.  

    28.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PC  (programmable controller)  

      시퀀스 컨트롤러의 일종이며, 제어 내용이 소프트웨어 적으로 변경이 가능한 스토어드 프로그램 방식의 컨트롤러(제어장치).  

    29. 프로토콜, 통신 규약  (protocol)  

      통신 회선에 의하여 접속된 장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하기 위한 순서, 제어 정보의 내용, 형식을 정한 규약. 

    30. APT  (automatically programmed tools)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제어하는 NC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31. CAD  (computer aided design)  

      제품의 모양 그 밖의 속성 데이터로 되어 있는 모델을 컴퓨터의 지원에 의하여 그 내부에 작성하고 처리함으로써 진행하는 설계의 형식. 

    32.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통합적으로 처리하여 제품성능, 제조공정 등을 사전 평가하는 일.  

    33. CAM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컴퓨터 내부에 표현된 모델에 근거하여 생산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만드는 것 및 그것에 근거하여 진행하는 생산의 형식.  

    34. 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

      생산에 관계되는 모든 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 및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통괄적으로 제어 · 관리함으로써 생산활동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시스템.  

    35. CNC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컴퓨터를 삽입 설치하여 기본적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는 수치 제어   

    36. DNC  (direct numerical control)  

      1대 이상의 수치제어 기계의 NC 프로그램을 공통의 기억장치에 격납하여 수치 제어기계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프로그램을 그 기계에 분배하는 기능을 가진 수치제어 방식  

    37. FA  (factory automation)  

      공장의 생산 기능을 구성하는 요소( 생산기기, 반송기기, 보관기기 등) 및 생산행위( 생산계획, 생산관리 등) 를 통합화하여 종합적으로 자동화를 하는 것.  

    38. FAIS, 공장 자동화 상호 접속 시스템  (factory automation interconnection system)  

      공장의 생산 현장에서의 다른 기종 간의 상호 접속을 실현하기 위한, MAP에 준거한 셀레벨의 통신 규약.  

    39. FMC  (fiexible manufacturing cell)  

      1개의 수치 제어 기계에 스토커, 자동공급 장치, 착탈장치 등을 구비하고, 장시간 무인에 가까운 상태로 복수 종류의 생산을 할 수 있는 기계  

    40. FM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생산설비 전체를 컴퓨터로서 총괄적으로 제어 · 관리 함으로써, 유사 제품의 혼합생산, 생산 내용의 변경 등이 가능한 생산시스템.

    41. ID 시스템  (ID system)  

      생산활동에 이용하기 위하여 물체의 속성 정보를 기록하고 인식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  

    42. IMS  (intelligent manufacturing system)  

      제조업에서 모든 지적 활동을 살리고, 또한, 지능화된 기계와 인간의 융합을 도모하면서 수주로부터 설계 ·생산 · 판매까지의 기업활동 전체를 유연하게 통합 · 운용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시스템.  

    43. LAN  (local area network)  

      기업 내 분산 배치된 여러 개의 통신 기능을 ( 계산기, 단말기, FA 기기 등 ) 상호 연결하여 정보 통신을 고속으로 또한 시스템적으로 하는 것.  

    44. MAP  (manufacturing automation protocol)  

      공장 내의 각종 자동화 기기의 상호 접속을 통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공장 자동화용 LAN(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 의 OSI에 준거한 통신 규약.   

    45. MRP  (manufacturing resources planning)  

      생산 관리의 기본 제반 기능을 통합화하는 시스템.  

    46. NC 프로그램, NC 데이터  (NCprogram,NC data)

      수치제어 기계를 움직이기 위하여 제어 장치에 입력하는 데이터.

     

    (※ 출처: http://mechapia.com/dictionary/manual_view.php?&bC=45&mC=89&lN=542&l_s=Y)

    반응형

    '기계공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7년 국가직 9급 기계일반 (작성 중)  (0) 2020.02.19
    기계공작법 필수 암기  (0) 2020.01.19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