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6월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6반응형더보기
정답: 4
균열형 칩은 절삭깊이가 깊거나 경사각이 작을때 발생한다.
더보기정답: 2
마찰력이 커지면 압하력도 증가한다.
더보기정답: 3
플래시는 형단조에서 발생하며, 플래시가 생기면서 형틀 안에 재료가 남아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플래시가 생기는 순간부터 공작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진다.
더보기정답: 2
용접에서 플럭스(flux)의 역할을 알면 쉽게 풀 수 있다.
플럭스(flux): 용접이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함. (모재 산화막 제거, 재산화 방지 등)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 더보기정답: 2
인바: Fe+Ni 합금
인코넬: Ni(주성분), Cr(15%), Fe(6~7%), Ti(2.5%), Mn·Al…(<1%); 고온고압 극한 환경에서 내산화성 내부식성을 갖고 있는 합금. 고온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니켈은 비싼 재료임을 알아두자)
플러린: C60, 탄소가 구·원기둥·타원체로 구성된 물질
아몰퍼스 합금(비정질 합금): 말그대로 비정질, 결정이 구성되지 않은 합금. liquid metal이라고도 불림.
더보기정답: 1
캠버값은 작을수록 좋다.
캠버: 수직축과 물체 표면이 이루는 각도를 말함. 따라서 롤의 캠버값이 크면, 압연시 균일하게 성형이 불가능하다.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4
폴리싱: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3
마찰이 크면 가공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보통 딥드로잉 시 펀치는 윤활하지 않는다.
더보기정답: 1
전조가공은 소성가공의 한 종류이므로 나사산 표면 경도를 증가시킨다. (연성이 높아지진 않는다.)
더보기정답: 2
폴리프로필렌(PP):
더보기정답: 2
구성인선 감소 방법: 절삭속도증가, 절삭깊이감소, 경사각증가, 공구반경감소
더보기42322 14413 34431 31122
반응형'기계공작법 > 서울시 7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해설 작성 중) (0) 2021.04.19 2017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 (0) 2021.04.19 2016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0) 2021.04.19 2015년 3월 연구사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0) 2021.04.19 2014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 (0) 202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