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
2018년 제1회 서울시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물리학개론/서울시 7급 (연구직 포함) 2021. 9. 27. 08:04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4 Tsin30º X 1 = 100 + (200X2) T=1000 N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최대 정지마찰력에서 A의 가속도가 가장 크다 F=μmg=0.8×1×10=8 N 더보기 정답: 3 도체 내부의 전기장 크기는 0이다 (가)에서 전기용량은 더보기 정답: 3 정상상태에서 F의 힘을 줘서 단진동시켰으므로 더보기 정답: 더보기 정답: 더보기 14323 34112 42443 21132
-
2018년 국가직 7급 자동제어 (작성 중)자동제어/국가직 7급 2021. 4. 21. 11:04
더보기 정답: 2 2) 센서없이 피브백이 가능하다. 더보기 정답: 안정한 영점(음수)은 jω축에 가까울수록 계단응답의 오버슈트를 증가시킨다. 안정한 선형 시불변 시스템에서 극점의 실수부는 0보다 작아야한다. T는 시정수이며, 시정수가 커지면 상승시간이 늘어난다. (응답속도가 느려진다.) 대역폭이 크면 일반적으로 응답이 빠르다.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3 PD제어기로 변경되었으므로, 응답속도가 빨라진다. 더보기 더보기 22232 41132 41413 22343
-
2018년 지방직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물리학개론/지방직 7급 2021. 4. 19. 16:49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4 ㄱ) O ㄴ) A: 붉은색(B보다 파장이 큼), B: 보라색(A보다 파장이 짧음) ㄷ) 더보기 정답: 2 관성력에 대한 문제 1) 아래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물체는 가속도를 위쪽방향으로 받기 때문에 수직항력이 작아진다. 2) 위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물체는 가속도를 아래방향으로 받기 때문에 수직항력이 커진다. 3)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면, 가속도가 없기 때문에 수직항력은 100N. 4) 3번과 동일. 더보기 정답: 3 Vo: 관측자속도, Vs: 음원속도 관측자는 음원에 가까워지는 방향이기 때문에 + 음원은 관측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기 때문에 +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1 페러데이 왼손 법칙, 아래 그림과 같이, A는 전류와 반대방향으로 입자..
-
2018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해설 작성 중)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
더보기 정답: 2 ㄱ) 목형구배가 아닌 라운딩을 말함 ㄴ) 맞음 ㄷ) 주형이 아닌 주물의 수축을 말함 (이 경우, 목형이 곧 주형이 된다) 더보기 정답: 2 충진을 원활하게 하려면 마찰이 적어야 한다. 더보기 정답: 4 1) 용선로: 강판을 원형으로 짜고 그 내부를 내화 벽돌로 쌓음. (보기에 나온 설명은 도가니로) 2) 도가니로: 1회에 용해할 수 있는 구리의 중량으로 용량을 표기 3) 반사로: 반사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불꽃이 직접 닿지 않아서 불순물이 섞이지 않음. (압축공기를 주입하는건 용선로 방식에서 전로부분을 말함) ※ 전로(轉爐, converter): 용해된 선철을 강철로 그것도 대량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장치.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산소와 철 내부의 탄소 등의 불순물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나 일..
-
2018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해설 보충 필요)기계공작법/국가직 7급 2021. 4. 19. 16:34
더보기 정답: 1 수직이방성에 대한 설명이다. 더보기 정답: 3 열간가공이 성형성 증대와 관련이 있다. 더보기 정답: 2 길이 50 cm를 진행하기 위해 250바퀴를 돌아야하므로 200rpm 속도로 돌때, 1.25분이 걸린다. 더보기 정답: 3 산화물 등 표면막 제거에 사용 가능하다. 더보기 정답: 2 2) 액상 레진층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형상을 적층하고, 적층된 형상을 열경화 과정을 거쳐 제품을 완성한다. 액상레진은 자외선에 민감하여, 자외선 레이져를 조사하면, 광 화학 반응에 의해 가교 결합된다.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4 압하율이 커야 잔류응력이 생긴다. 더보기 정답: 3 전극을 연결하는 가공(용접, 전해가공, 방전가공)에서 공작물은 기본적으로 양극이다. 더보기 정답: 1 블랭크 홀딩..
-
2018년 국가직 7급 기계설계기계설계/국가직 7급 2020. 2. 14. 09:16
더보기 전답: 2 체인은 미끄럼이 없다. 벨트가 미끄럼이 있다. 더보기 정답: 2 플랜지 커플링 올덤 커플링 더보기 정답: 1 6310 단열 레이디얼 볼 베어링의 직경은 50 mm이며(뒤의 숫자 두자리가 직경을 의미함), 한계속도지수를 통해 4,000 rpm이 최대 사용 회전속도임을 구할 수 있다. 한계속도지수(mm·rpm) = 베어링직경(mm) X 최대회전속도(rpm) 베어링직경계열 숫자파악방법은 다음과 같다. 00 (10 mm), 01 (12 mm), 02 (15 mm), 03 (17 mm)의 네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5배를 곱해주면 된다. 예시) 05 → 25 mm, 09 → 45 mm 더보기 정답: 4 내부확장식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블록이 드럼의 안쪽에 있기 때문에 마찰면에 먼지와 기름 ..
-
2018년 국가직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물리학개론/국가직 7급 2020. 2. 14. 08:39
더보기 정답: 1 1) 간섭 2) 굴절 3) 굴절 4) 굴절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중성자 개수 차이 때문에 원자량이 다르다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4 ㄱ) Vy = Vo sinθ 이므로, 옳다 ㄴ) 최고점에서 수직방향 속력이 0이고, 수평방향 속력만 존재하므로, 물체의 속도와 가속도는 수직하다. ㄷ) 30˚와 60˚는 수평거리가 같다. ㄹ) 수평거리는 같지만 30˚가 더 빨리 도달한다.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4 질량이 크면 멀리간다.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4 이와 같은 문제는 만유인력 = 원심력을 통해 지구 질량은 해당 식에서 소거되므로, 궤도반지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주기 또한 원주길이를 속도로 나눈 값이므로 지구 질량은 주기에도 영향을..
-
2018년 서울시 7급 기계설계 (작성 중)기계설계/서울시 7급 2020. 2. 10. 19:33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1 모터가 주는 토크 마찰력이 버틸 수 있는 토크 따라서 400Nm 더보기 정답: 1 친절한 그림만 봐도 풀 수 있다.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2 전단변형에너지설이 실험결과와 최대 전단응력설보다 더 잘 일치한다.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더보기 정답: 더보기 정답: 모두 옳은 보기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더보기 정답: 더보기 정답: 3 ㄱ,ㄹ: 구름베어링 ㄴ,ㄷ: 미끄럼베어링 더보기 정답: 더보기 정답: 3 순수전단일 경우, σ₁=σ σ₂=-σ σ₃=0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21122 22213 ?1423 31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