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 간간이 틈틈이 짬짬이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9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
    반응형

    더보기

    정답: 4

    보기에서 주어진 정보를 통해 압출공정인 것을 알 수 있다. (인발은 당김)

    그리고 램과 공작물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후방 압출 공정이다.

    전방압출 공정은 램이 공작물의 방향의 같다.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2

    ◎ 분말야금 관련 암기노트

    - 분말야금 공정: 압축 → 소결

    - 대량 생산 가능, 재료 낭비 없음, 공극 조절 가능, 고정밀 공정, 자동화 가능, 특정합금 혹은 가공하기 힘든 금속도 가공 가능

    - 비용이 높음, 분말은 취급하기 어려움, 형상이 제한적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등방성을 띄는건 열간 가공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2

    플래시와 거버를 잘 숙지할 것

    플래시 : 금형 외부로 밀려나가는 소재의 일부, 과다한 소재를 빠져나가게 하고, DIE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정확한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해줌

    거터 : 단조 하중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

    더보기

    정답: 1

    450℃ 이상이 브레이징, 이하는 연납접(납땜)이라고 한다

    더보기

    정답: 4

    3D 프린터 관련 문제가 자주 나오고 있다. 영어단어만 알아도 따로 암기할 필요가 없다.

    FDM: 열가소성 필라멘트를 재료로 사용해서 치약처럼 짜내며 바닥부터 적층하는 방법

    SLS: 분말을 면단위로 적층하고 레이져로 선택적으로 녹여 가공한다. 한층의 공정이 완료되면 판이 다음 가공 높이만큼 하강하고 다시 분말을 적층, 레이져 가공을 반복한다.

    LOM: 재료시트를 사용해서 SLS와 비슷하게 한층씩 하강하며 가공한다. 분말이 아니라 시트 단위로 레이져로 자른 후, 열로 붙이고 다음 시트를 롤링해서 공급한 뒤 공정을 반복한다.

    EBM: 전자빔을 이용해 분말을 녹여 가공.

    SLA: 스테레오리소그래피로 액체 상태의 레진에 자외선이나 레이져로 형상을 만들고 열경화과정을 거쳐 가공.

    참고)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고체, 가열, 노즐, 열가소성수지
    SLA Stereolithography 액체, 자외선, 레이져, 열경화필요, 광경화수지
    LOM 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시트(적층물), 레이져로 자름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분말, 레이져, 플라스틱분말
    EBM Electron Beam Melting 금속분말, 전자빔
    DMLS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금속분말, 레이져
    3DP Three Dimensional Printing 분말을 분사
    SHS Selective Heat Sintering 열가소성 분말을 분사

    더보기

    정답: 4

    진응력 = 인장하중 / 나중면적

    진변형률 = ln (나중길이 / 초기길이)

    더보기

    정답: 2

    니블링: 판재으로 자르는 공정

    슬리팅: 원형 판재를 폭이 더 좁은 판재로 가공하여 코일 형태로 만드는 공정

    크림핑: 전선 끝단에 원하는 종류의 커넥터를 연결하는 공정

    더보기

    정답: 3

    사출 불량

    1) 충전 불량: 충전제가 부족해서 완성품의 일부분의 재료자체가 부족하게 사출됨

    2) 싱크 마크: 싱크의 뜻을 알아두자

    3) 플래시: 플래시의 뜻을 알면 틀릴수가 없다. 단조의 플래시와 같음

    4) 웰드 마크: 접합부에 나타나는 불량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4

    플라스틱은 탄성률이 떨어져, 구조자재로 비적합. 탄성률이 높은 강화섬유를 사용해 복합소재로써 사용가능함.

    더보기

    정답: 1

    이 문제는 공구상가에 갔다와보면 알 수 밖에 없다. 대학교에서 자동청소로봇을 제작해봤는데 교수 욕을 하며, 톱질하던 경험이 이렇게 쓰이다니.. 정말 공무원 기출을 보면 여러가지 경력 덕분에 암기할 내용이 매우 적어진다.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2

    전해가공은 전해액 안에서 도금과 반대 극성으로 진행 (용접봉: 음극, 용접물: 양극)

    전기화학반응으로 가공을 하고 전해액 안에서 가공하기 때문에 열변형도 없고 열에너지를 이용하지 않음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