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해설 작성 중)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반응형더보기
정답: 2
ㄱ) 목형구배가 아닌 라운딩을 말함
ㄴ) 맞음
ㄷ) 주형이 아닌 주물의 수축을 말함 (이 경우, 목형이 곧 주형이 된다)
더보기정답: 2
충진을 원활하게 하려면 마찰이 적어야 한다.
더보기정답: 4
1) 용선로: 강판을 원형으로 짜고 그 내부를 내화 벽돌로 쌓음. (보기에 나온 설명은 도가니로)
2) 도가니로: 1회에 용해할 수 있는 구리의 중량으로 용량을 표기
3) 반사로: 반사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불꽃이 직접 닿지 않아서 불순물이 섞이지 않음. (압축공기를 주입하는건 용선로 방식에서 전로부분을 말함)
※ 전로(轉爐, converter): 용해된 선철을 강철로 그것도 대량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장치.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산소와 철 내부의 탄소 등의 불순물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나 일산화탄소로 배출됨.
더보기정답: 2
상향 밀링과 하향 밀링은 그림만 그릴 줄 알면 자명한 문제인듯
더보기정답: 4
정극성: 용접봉-, 모재+ (정극성은 모재가 많이 깍여나가는 상태)
더보기정답: 3
주철의 종류
회주철:
백주철: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3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3
더보기정답: 2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1
더보기정답: 4
과도굽힘은 탄성복원 보정방법이 아니다. 나머지 보기는 전부 탄성복원 보정방법이다.
더보기정답: 1
인발된 제품은 내부에는 인장응력, 표면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한다.
반응형'기계공작법 > 서울시 7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 (0) 2021.04.19 2019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0) 2021.04.19 2017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 (0) 2021.04.19 2016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0) 2021.04.19 2015년 6월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 (0) 2021.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