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반응형더보기
정답: 2
연납접(납땜)은 모재는 녹지 않고, 용가재(납)만 용융된다.
더보기정답: 3
주철은 흑연이 미세할수록, 구형일수록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함
냉각속도에 따라 회주철, 백주철이 생성됨
탄소, 실리콘 함량이 많으면 회주철, 적으면 백주철이 생성됨회주철 백주철 가단주철: 백주철로 제조한 다음 흑연화 열처리를 하여 제조
구상화 흑연 주철: 용해 후 주조 직전에 마그네슘 처리하거나 흑연화 접종제를 첨가하여 제조
더보기정답: 4
subzero(심냉처리, 냉동처리, 칠처리 등등):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담금질 처리를 하면 오스테나이트가 5~20% 잔류하게 됨. 약 -180℃로 냉각하여 조직을 전부 마르텐사이트로 변환한 뒤, 실온으로 회복한 뒤 저온 템퍼링을 하여 β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바꿔주는 것이 subzero임.
더보기정답: 1
liquid penetrant test의 경우, 표면부터 이어지는 결함의 탐지가 가능하다. 즉, 내부 결함은 탐지가 불가능.
더보기정답:
더보기정답: 2
더보기정답: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2
구스넥을 통해 다이로 주입(X)
레이들로 퍼서 사출실린더로 넣는다.고온용기다이캐스팅이 구스넥을 통해 다이로 주입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더보기정답: 1
체심입방격자 더보기정답: 3
등유 혹은 방전가공유를 사용한다. 따라서 화재에 유의해야 한다.
더보기정답: 2
단접은 두 연철의 온도를 올려(1000℃) 망치로 때려 접합하는 방법 그리고 금속제의 레일 · 관 · 봉을 끝부분에서 접합시키는 방법의 하나. 플래시버트법에서는 두 막대 끝을 접근시키고 대전류를 흐르게 하면 근접한 끝부분에 전호가 생겨 가열되는데 용접 온도에 이르면 막대를 압착시키고 전원의 스위치를 끈다. 여분의 금속은 결합부에서 밀려나와 플래시가 된다. 압력맞대기법에서는 파이프의 끝부분을 접촉시켜 전체를 반복 가열하여 압력을 가한다. 가열법에는 가스제트, 고주파유도전압 또는 저항 등이 있는데 어느 경우나 그 금속이 용접 온도에 달할 때 최종적인 스웨이징을 하여 고착시킨다.
(출처: https://www.scienceall.com/%EB%8B%A8%EC%A0%91-forge-welding-%E9%8D%9B%E6%8E%A5/)
더보기정답: 1
콜릿이나 척이 필요 없다.
더보기정답:
더보기정답: 2
더보기정답: 4
더보기정답:
23414 21421 32141 32343
23414 21421 32141 32343
반응형'기계공작법 > 서울시 7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0) 2021.04.19 2018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해설 작성 중) (0) 2021.04.19 2016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0) 2021.04.19 2015년 6월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작성 중) (0) 2021.04.19 2015년 3월 연구사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 (0) 2021.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