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 간간이 틈틈이 짬짬이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07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기계공작법/국가직 7급 2020. 2. 4. 07:01
    반응형

    더보기

    정답: 4

    셰이빙: 앞 공정에서 전단된 블랭크재의 전단면을 평평하게 가공하기 위해 다시 한번 전단하는 작업

    더보기

    정답: 4

    1) E-beam 용접: (E-beam evaporator기기) 진공에서 실시되며 좁고 깊은 용입이 가능하다.

    2) 확산접합: 재료를 밀착시켜 접합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원자의 확산에 의해 접합. 접합 후 열응력과 변형이 적으며, 동종 혹은 이종금속 접합이 가능하다.

    3) 플라즈마 아크용접: 전극봉 손실이 없는 아크 용접법

    4) 프로젝션 용접: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3

    스팟용접은 전기용접법이다.

    더보기

    정답: 1

    오차: 측정값과 참값의 차이

    더보기

    정답: 3

    호닝머신과 호닝툴

    1),2) 연삭보다 호닝이 더 정밀한 가공이므로, 온도상승, 변질층이 적다.

    3) 고정밀의 이송시스템은 필요없다.

    4) O

    더보기

    정답: 3

    NC: Numerical Control, 수치제어

    CNC: Computer Numerical Control, 컴퓨터 수치제어; NC장치에 컴퓨터를 추가하여 제어

    DNC: Direct Numerical Control, 직접 수치제어; 컴퓨터 한대로 여러대의 공작기계를 제어

    FM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유연 생산 시스템; 공장자동화의 기본이 되는 시스템, 다품종 소량생산

    APT: Automatically Programmed Tools, 자동 프로그래밍 도구; NC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MAP: Manufacturing Automation Protocol, 각종 자동화 기기의 상호 접속을 통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공장 자동화용 LAN(Local Area Network)의 OSI에 준거한 통신 규약

    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 생산에 관계되는 모든 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 및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통괄적으로 제어 · 관리함으로써 생산활동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시스템

    CNC관련 용어 정리

    더보기

    정답: 3

    칩브레이커는 연속형 칩을 잘라내기 위한 장치이므로, 연속형 칩이 발생하는 조건이 보기에 나와야 한다.

    더보기

    정답: 4

    폐회로 제어는 위치제어방식을 사용하므로, 정확한 위치 검출을 해야한다.

    이송나사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피드백하는 시스템은, 반폐회로 제어방식이다.

    더보기

    정답: 1

    넘버링이 크면 점점 고운 입자들을 말한다.

    예시) 1500방(미세), 100방(거침)

    2) 알파벳 순으로 연한 결합도에서 점점 경한 결합도

    3) R은 고무(rubber)

    4) C숫돌(흑색): 주철, 비금속 등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은 A숫돌(갈색; 일반강제, 중연삭), WA숫돌(백색; 담금질강, 경연삭)

    더보기

    정답: 4

    영구주형의 경우, 표면마무리가 우수하고 치수정확도가 높고 미세입자구조가 되기 쉽다. 하지만, 영구주형 특성상 복잡한 제품에는 적합하지 않다.

    더보기

    정답: 4

    분할대는 밀링가공에서 각도제어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기구이다.

    더보기

    정답: 3

    나머지 보기는 전부 구성인선이 증가한다.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1

    냉간가공은 형상을 크게 변형시킬 수 없다.

    더보기

    정답: 4

    GT에서 완제품도 표준화 대상에 포함된다.

    더보기

    정답: 2

    1) 다이캐스팅은 영구주형을 사용

    3) 진원심주조법은 코어가 필요 없다 (원심력으로 인해 중공 제품 주조할때 코어가 필요 없음)

    4) 미스런

    주물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거나, 윤곽이 뚜렸하지 않음.
    일반적으로 유로가 긴 대형 주물이나 주물의 상층부에서 발견됨.
    (게이트(주입구)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 벽두께가 얇으면서 평평하고 넓게 펴진 부분)

    미스런은 주형 장입이 완료되기 전에, 용탕이 미리 응고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미스런은 긴 유로로 인한 열전도문제 때문이거나 잘못 놓여진 냉금으로 인해 발생한다. 또는, 주형사의 가스 배출이 충분하지 않아서 생긴 공기 포집으로 인해 발생한다.

    • 주형사의 가스 배출을 최적화한다.(즉, 미립자 감소, 주형압축)
    • 주입온도를 높인다.
    • 초기응고가 일어나는 곳에 냉금을 사용한다.
    • 적당한 부분을 얇게 넓힌다.

    더보기

    정답: 1

    매니플레이터: 말그대로 조작, 동작하는 부분을 말한다. 즉, 산업용로봇에서 인간의 팔 역할을 하는 부분을 말함. 어깨와 팔꿈치, 손목을 생각하자.

    더보기

    정답: 4

    회전대칭이 아니라 축대칭이다.

    더보기

    정답: 4

    커지지 않고 작아진다. (신장을 주면서 굽히면 스프링백을 방지할 수 있다)

     

    더보기

    44131 33341 44341 42144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