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
2019년 10월 서울시 7급 물리학개론물리학개론/서울시 7급 (연구직 포함) 2021. 9. 27. 08:04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mv = const 에 따라 (운동량 보존) 1kg * 0m/s = 0.25*2i + 0.25*2j + 0.5 (xi + yj) (i는 x방향 벡터, j는 y방향 벡터) x=-1, y=-1 속력 합은 각 성분의 제곱의 합에 제곱근을 취한다 정답은 2번 더보기 정답: 4 1) 주기 = 10 s 2) 진폭 = 20 cm 3) 진동수 = 0.1 Hz 4) 속도 = 파장 X 진동수 = 0.5 m/s 더보기 정답: 4 턱의 접점에서 중량에 의한 모멘트와 힘에 의한 모멘트가 같으면 넘어갈 수 있다. mg4 = F3 F=8 N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1 AV=const 더보기 정답: 3 D→A과정: v감소, P증가, T증가 (단열압축) ..
-
2019년 2월 서울시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물리학개론/서울시 7급 (연구직 포함) 2021. 9. 27. 08:04
더보기 정답: 1 정적평형상태이므로 합력 = 0, 토크 = 0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3 운동량 문제, mv=const 20 = 2x +3y (x는 충돌 후 A 속도, y는 충돌 후 B 속도), 대입해보면 3만 정답 더보기 정답: 1 나중속력은 정지했으므로 0이고, 변수는 초기속도와 가속도 그리고 정지거리. 위 식에 대입하면 ①이 [10 m]로 제일 가까움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 2 열평형상태면 열이동량이 같다.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 2 더보기 정답 : 3 더보기 정답 : 2 m과 q가 똑같이 2배씩 증가하면 반지름은 그대로이다. 더보기 정답 : 1 더보기 정답 : 1 더보기 정답 :..
-
2019년 국가직 7급 기계설계 (작성 중)기계설계/국가직 7급 2021. 4. 22. 17:43
더보기 정답: 2 원동차의 전달동력으로 원동차의 직경을 구하고, 직경비를 통해 종동차 속도를 구해야 한다.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4 보기4는 롤러베어링 수명 공식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3 가는 2점 쇄선(가상선, 무게중심선): 인접 부분을 참고로 표시, 공구·지그 등 위치 참고용, 가공이동한계, 가공 전 또는 가공 후 표시 더보기 정답: 2 최대허용치 ≥ (축하중/칼라면적) × 속도 더보기 정답: 4 따라서 값이 더 큰 10 mm가 정답.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4 각 부품이 전부 파손되어야 제품이 파손되므로 각 부품이 파손될 확률 20%, 10%, 15%를 곱하면 모든 부품이 파손될 확률이 0.3%가 나온다. 따라서 제품은 99.7%의 ..
-
2019년 국가직 7급 자동제어 (작성 중)자동제어/국가직 7급 2021. 4. 21. 11:04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1 댐퍼와 용수철, 질량이 있는 시스템이므로 위의 식으로 상태방정식이 완성된다. 보기1을 정리하면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4 s평면의 우반평면에 영점이 추가되면 단위계단 입력에 대하여 언더 슈트 현상을 일으킨다. 더보기 정답: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4 ① 1열의 부호 변화는 +-++ 이므로 우반평면에 극점이 두개 존재 ② 1열의 부호 변화는 +-++ 이므로 우반평면에 극점이 두개 존재 ③ 1열의 부호 변화는 +--+ 이므로 우반평면에 극점이 두개 존재 ④ 1열의 부호 변화는 ++++ 이므로 우반평면에 극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더보기 정답: 보드선도를 보고 식을 만들때, 두가지 방법이 있다. 1) s+a방법: y축값이 주어질때 유용 2)..
-
2019년 서울시 7급 자동제어 (작성 중)자동제어/서울시 7급 2021. 4. 21. 10:58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1) 임펄스, E(s)= 2) r(t)=1, E(s)= 3) r(t)=t, E(s)= 4) r(t)=t^2, E(s)=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1 이득여유: 0 - 위상이 -180˚인 위치에서 이득값 = 0 - (-20) = 20 dB 위상여유: 180˚ + 이득이 0dB인 위치에서 위상값(-150˚) = 180˚ + (-150˚) = 30˚ 더보기 정답: 2 대역폭을 증가시켜 반응속도 개선(빨라짐)을 할 수 있다. 더보기 정답: 4 Tp 가 전부 같으므로, 위 식에 의해서 a,b,c 모두 w의 절댓값이 같다.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더보기 42311 24233 31221 44343
-
2019년 지방직 7급 물리학개론 (작성 중)물리학개론/지방직 7급 2021. 4. 19. 16:50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2 Ft = mv ; 힘과 힘이 작용하는 시간의 곱은 운동량과 같다. 문제의 경우 t값이 길어져서 F(충격량)이 줄어드는 것이다.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3 dq=dw+du=pdv+(3/2)nRdT 1) dq=0, v증가, T감소 → 내부에너지 감소 2) (1/2)mv^2 = (3/2)nRdT ; 절대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3) 정답 4) 분자량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더보기 정답: 4 1: dT=0, du=0 2: dq=dw+du, dq=dw 3: 더보기 정답: 1 V=IR, 점a를 0V라 가정하면, 점b는 -4V이므로 전위차는 4V (그림 참고) 더보기 정답: 2 방출되는 전자의 에너지는 빛의 진동수와 관련..
-
2019년 서울시 7급 기계공작법기계공작법/서울시 7급 2021. 4. 19. 16:37
더보기 정답: 4 보기에서 주어진 정보를 통해 압출공정인 것을 알 수 있다. (인발은 당김) 그리고 램과 공작물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후방 압출 공정이다. 전방압출 공정은 램이 공작물의 방향의 같다. 더보기 정답: 1 더보기 정답: 2 ◎ 분말야금 관련 암기노트 - 분말야금 공정: 압축 → 소결 - 대량 생산 가능, 재료 낭비 없음, 공극 조절 가능, 고정밀 공정, 자동화 가능, 특정합금 혹은 가공하기 힘든 금속도 가공 가능 - 비용이 높음, 분말은 취급하기 어려움, 형상이 제한적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3 더보기 정답: 2 등방성을 띄는건 열간 가공 더보기 정답: 4 더보기 정답: 2 플래시와 거버를 잘 숙지할 것 플래시 : 금형 외부로 밀려나가는 소재의 일부, 과다한 소재를 빠져나가게 하고, ..
-
2019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기계공작법/국가직 7급 2021. 4. 19. 16:34
더보기 정답: 2 탄소함유량이 많아질수록 가공성 저하, 경도·강도·내마모성 증가 더보기 정답: 2 크리프 현상을 말한다. 더보기 정답: 1 리밍은 연마공정이 아닌, 날공구를 사용한 정밀 가공이다. 더보기 정답: 4 척대신 연삭숫돌과 조정숫돌을 사용하는 것은 센터리스 연삭을 말한다. 크리프피드 연삭 (반도체 공정 중 CMP) 더보기 정답: 2 초음파가공은 연삭숫돌을 진동시키는 것이 아닌, 연삭 입자들(가공액과 섞음)이 초음파 진동에 의해 상하로 공작물과 충돌하여 가공하는 방법이다. 더보기 정답: 2 1) 왁스 등 열에 쉽게 녹는 재질 3) 금속 (영구주형) 4) 금속 (영구주형) 더보기 정답: 3 ㄱ) 전단면과 공작물 표면이 이루는 각을 전단각이라고 한다. ㄴ) 전단각이 크면 절삭에너지는 작아진다. (옳음..
-
2019년 지방직 9급 기계일반기계공작법/지방직 9급 2020. 9. 14. 08:27
더보기 정답: 3 플래시는 주물에서 빠져나온 부분을 말한다. (구성하는 요소가 아님) 주형 구성 요소의 예: 라이저, 탕구, 탕도, 게이트, 코어 더보기 정답: 1 냉간가공이 열간가공보다 치수 정밀도가 높고 표면상태가 우수한 가공방법이다. 더보기 정답: 2 TIG 용접은 텅스텐 봉을 사용한 아크 용접이다. 텅스텐 봉은 소모되지 않는다. (비소모성 전극) 참고) 용접봉 -극, 용접대상 +극 더보기 정답: 2 이송 X 회전속도 = 1 mm/rev X 200 rpm = 200 mm/min 가공깊이가 95 mm이므로 분당 200mm씩 이동하는 드릴로 약 30초 가공시간이 소요된다. 더보기 정답: 4 플라스틱 사출성형공정에서 수축은 부정적인 요소다. 제품이 두꺼울수록 수축량은 늘어난다. 더보기 정답: 4 관용나사..